TOPS LAB

연구

HOME > 연구 > 연구성과

차량의 상호작용 시 확률적 보상을 고려한 게임이론적 의사결정 모형

도로를 주행하는 동안 차량은 다양한 기하구조 상에서 서로 다른 교통류가 합쳐지는 구간을 빈번하게 마주하며, 이러한 구간에서는 차량 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필수적인 차로변경 구간의 대표적 두 구간인 합류부와 회전 교차로를 살펴보고 확률적인 보상을 고려하여 차량의 의사결정을 위한 게임이론 모델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선택에 대한 보상을 통행시간과 통과시간으로 정의하고 선택 확률과 균형을 평가했다. 제안된 모델 검증 결과, 의사결정에 대한 예측은 실제 선택과 비교했을 때 상당히 높은 수준의 정확도를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차로변경 행동에 대한 미시적 수준의 탐색을 제공함으로써 의사결정에 대한 현실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image1

통행 수요 패턴을 기반으로 한 도시 지역의 기능적 특성 분석

효율적인 도시 계획과 교통 관리를 위해 지역 (region)의 실제 기능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계획된 기능은 건축 환경과 토지 이용에 의해 결정되지만, 실제 기능은 사람과 지역의 상호작용, 즉 실제 활동을 통해 나타나며, 이는 통행 수요 패턴을 통해 관찰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활동 유형별 통행 수요 패턴의 특이성을 고려하여, ① 버스·택시 등 다수단에 대한 통행 수요를 기반으로 지역 클러스터를 식별하고, ② 건축 환경, 교통 시설, 사회인구학적 요소 등을 고려하여 각 클러스터의 공간적 맥락을 분석해 기능을 추론하는 2단계 데이터 마이닝 접근법을 제안한다. 2019년 대전광역시의 통행 수요 데이터를 활용해 주거, 산업, 업무/교육/연구, 상업, 혼합 기능 지역 등 6개 클러스터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통행 수요를 통해 지역의 실제 기능을 추론하고, 시공간적 특성을 고려한 도시 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image2

전기차 배터리의 내부저항 열화에 대한 운전 특성 분석 연구

본 연구는 다양한 교통 시나리오 및 도로 구배 조건에서 전기차 배터리 내부저항 열화에 기여하는 운전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다중 수준 Battery-in-the-Loop System (BILS) 시뮬레이터’를 개발한다. 해당 시뮬레이터는 전기차 주행 시나리오 생성 모듈, 부하 전류 산출 모듈, 그리고 실 배터리 상태 관측 모듈로 구성되며, 다양한 도로 구배 및 교통 환경에서 생성된 주행 시나리오에 따른 배터리 열화 현상에 대해 분석한다.
image3